Login 하셔야 댓글을 다실수 있습니다
함께 공부하는 열린 공간입니다.
편하게 의견 다시고 서로 질문 하세요
정축월 정해일 1990-1-22 21시 여 | |||||||||||||||
여 35 세 | 空亡 : 午未 | 三災 : 亥子丑 | |||||||||||||
시 | 일 | 월 | 년 | ||||||||||||
偏財 | 日干 | 比肩 | 食神 | ||||||||||||
辛 | 丁 | 丁 | 己 | ||||||||||||
亥 | 亥 | 丑 | 巳 | ||||||||||||
正官 | 正官 | 食神 | 劫財 | ||||||||||||
胎 | 胎 | 葬 | 旺 | ||||||||||||
역마 | 역마 | 화개 | 지 | ||||||||||||
戊 甲 壬 | 戊 甲 壬 | 癸 辛 己 | 戊 庚 丙 | ||||||||||||
74 | 64 | 54 | 44 | 34 | 24 | 14 | 4 | ||||||||
乙 | 甲 | 癸 | 壬 | 辛 | 庚 | 己 | 戊 |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
세운 | |||||||||||||||
31 | 30 | 29 | 28 | 27 | 26 | 25 | 24 | 23 | 22 | 21 | 20 | 19 | 18 | 17 | 16 |
偏財 | 正財 | 食神 | 傷官 | 比肩 | 劫財 | 偏印 | 正印 | 偏官 | 正官 | 偏財 | 正財 | 食神 | 傷官 | 比肩 | 劫財 |
辛亥 | 庚戌 | 己酉 | 戊申 | 丁未 | 丙午 | 乙巳 | 甲辰 | 癸卯 | 壬寅 | 辛丑 | 庚子 | 己亥 | 戊戌 | 丁酉 | 丙申 |
正官 | 傷官 | 偏財 | 正財 | 食神 | 比肩 | 劫財 | 傷官 | 偏印 | 正印 | 食神 | 偏官 | 正官 | 傷官 | 偏財 | 正財 |
胎 | 養 | 生 | 浴 | 帶 | 官 | 旺 | 衰 | 病 | 死 | 葬 | 絶 | 胎 | 養 | 生 | 浴 |
사주에서 월지는 사회적 존재인 인간이 어떻게 생을 살아가는지를 말하기 때문에 중요해요. 그런데 신해시. 신금의 기운. 편재가 축토를 이루는 요소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누구는 축토가 식이라 식신격이라고 하겠지만 아주 높은 확률로 이 사주는 편재격이 될수도 있어요. 식생재. 내가 생하는 화생토 기운이 토생금으로 결과를 얻는다. 풀면 내가 가진 재능이 있는데 그것을 잘 쓴다는 말입니다. 재능이 있어도 활용을 못하기도 하고 활동은 열심히 하는데 재능이 없어 고생스럽기도 하고 그래요 사람들이. 편재를 사주에서 아버지라고도 하자나요. 축이 충극에 놓일때 축중 신금이 천간에 오른다를 아주 고약한 사주이론에서는 입묘라고 해서 해당 육친에게 피해가 있다고 말해요. 그런데 개인적으로는 생업하시는 분들이 굿하려고 지어낸 말이다 생각하기로 합니다. 아무튼 축을 쓴다는 것은 내가 편재를 잘 쓰는 사람이라는 것으로 세상돌아가는거 돈흐르는거 본질을 꿰뚫는거 그런 눈이 좋다는걸 말해요. 아부지 건강하고는 관계 없습니다!! 2025-08-01 by rea |
축을 잘 쓴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2025-08-01 by uri |
신약이 나쁜것이 아닙니다. 득세 실세처럼 설명하면 부정적으로 보이자나요. 나쁘고 좋음이 없는 이유는 신약명은 흐름에 순응하기 때문에 생에 큰 굴곡이 없습니다. 반면 신왕명은 주체적인 성향이 강해서 스스로 화를 자초하는 경우가 많아요. 다만 신약명이 형충해파에 시달리면 쉽지는 않습니다. 정화가 해중 임수 정관과 합이 있으니 득지했습니다. 나는 득지 했으나 월지 정화는 축위에 있으니 실지 했다고 해야죠. 그러나 나는 월령 정화의 동료를 가지고 있으니 득세의 가능성도 높죠. 정화가 관위에 있으면 반드시 쓰임이 있어서 조직에서 나를 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축중 신금, 사중 경금이 모두 재성이니 시상일위격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또 생재하려면 축을 잘 써야 하는데 굳이 축 식신을 잘 쓸 필요가 있을까 ? 한국사회가 종용하는 누구나의 길을 나에게 강요할 필요가 있나.. 근을 사중 병화에 두면 국가기관 좋습니다. 2023-10-17 by rea |
저는 천문 관련 국가기관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잦은 인사발령으로 이직도 많이 알아봤지만 쉽지 않았습니다. 학창시절 반항심이 많이 들어 공부를 많이 하지 못했던 점이 늘 아쉬움이 남아 다른 전공의 학사 학위도 취득해보고, 향후 대학원도 가서 학업을 이어나갈 의향이 있습니다. 작년에는 승진을 했지만 정신적으로 힘들어서 명상도 배우고 사주 공부에도 입문하게 되었습니다. 내 사주의 흐름만이라도 파악해보고자 하는 생각이고, 초코명리님 유튜브 통해서 이 사이트를 알게 되어 저와 비슷한 사주를 찾아보고 또 궁금한 점도 여쭙고 싶습니다. 제 사주 명식으로만 봤을때는 실령, 실지, 실세의 신약 사주로 생각했는데 예전에 사주를 보러 갔을 때 그리 신약한 사주가 아니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렇게 보는 것이 맞는지, 그렇다면 이유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신약한 사주가 아니라면 제 용신을 무엇으로 보아야할까요..? 또 시상일위편재격에 해당되어 보이는데, 앞선 질문과 이어지는 질문으로 신약한 사주에서는 시상일위편재격을 잘 사용하지 못한다는 의견도 봤었는데, 제가 편재를 잘 발휘할 수 있을지, 발휘한다면 어느 대운이나 세운일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월지의 백호살이 있는데, 제가 돈을 많이 모으는 것이 아버지의 건강과 관련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2023-10-13 by uri |